[ 이전 ] [ 차례 ] [ 1 ] [ 2 ] [ 3 ] [ 4 ] [ 5 ] [ 6 ] [ 7 ] [ 8 ] [ 9 ] [ 10 ] [ 다음 ]


데비안 새로운 관리자 안내서
5 - debian/ 디렉토리에 있는 그 밖의 파일


debian/ 서브 디렉토리 안에 몇 개의 파일이 더 있다. 대부분은 `.ex'가 뒤에 붙어 있는데, 예제 파일이라는 뜻이다. 그들의 기능을 쓰고 싶으면 관련된 문서를 (정책 매뉴얼) 참조해서, 그 파일이름에서 `.ex'를 뺀 다음 편집하고, `rules' 파일을 수정해서 이용하면 된다. 이 파일 중에서 자주 이용되는 것들은 다음에서 설명한다.


5.1 README.debian

그 외에 세부적인 사항이나, 원 패키지와 여러분의 데비안화 된 버전간의 차이점이 이 파일에 쓰여져야 한다. 다음은 dh_make가 만들어 주는 README.debian이다:

       gentoo for Debian
       ----------------------
     
       <possible notes regarding this package - if none, delete this file>
     
       Josip Rodin <jrodin@jagor.srce.hr>, Wed, 11 Nov 1998 21:02:14 +0100

여기에 쓸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으므로 - 이 파일을 지워도 좋다. 아니면, 이 파일을 README.Debian으로 바꿔도 된다 :-)


5.2 conffiles

소프트웨어에 관련하여 가장 황당한 일중 하나는, 업그레이드하면서 전에 있던 파일들이 지워지면서 다시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 프로그램을 커스터마이즈해야 하는 경우이다. 데비안에서는 설정 파일들이 무엇인지 표시해 놓고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할 때 옛날 설정 파일을 유지할 것인가 아닌가를 물어보도록 함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. 여러분은 conffiles라는 파일 안에 각 (보통 /etc에 있는) 설정 파일들을 한 줄에 하나씩 완전한 경로를 적어 놓으면 된다. gentoo도 /etc/gentoorc라는 한개의 conffile이 있어서, 이 파일을 conffile에 써 넣는다.


5.3 dirs

이 파일은 꼭 필요한 디렉토리이지만, 보통의 설치 과정(make install)에서는 만들어지지 않는 디렉토리를 지정한다. 기본적으로, 이 파일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 진다:

       usr/bin
       usr/sbin

맨 앞에 있는 슬래쉬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ㅎ나다. 우리는 이 파일을 다음과 같이 바꿀 것이다:

       usr/X11R6/bin
       usr/X11R6/man/man1

하지만, 이 디렉토리는 메이크파일에서 이미 만들어진다. 때문에 우리는 dirs 파일이 필요가 없고, dirs 파일은 지워도 된다.


5.4 manpage.1.ex

*.ex로 끝나는 파일들은 각 기능들을 패키지에 포함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예제이다. 이 기능들을 사용하려면, 이 파일을 편집하고 .ex 확장자를 없앤다. 필요하지 않으면 .ex 로 끝나는 파일을 지운다.

프로그램에는 맨페이지가 있어야 한다. 맨페이지가 없다면 내용을 채워 넣을 수 있는 뼈대가 여기에 마련되어 있다. 맨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man(7)에 간단히 나와 있다. 이 파일을 프로그램의 이름으로 고치고 그 맨페이지가 가야 할 매뉴얼 섹션으로 확장자를 고친다. 다음은 매뉴얼 섹션의 리스트이다:

         섹션 |         설명         |     보충
          1     사용자 명령           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나 스크립트
          2     시스템 콜              커널에서 제공하는 함수
          3     라이브러리 콜         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함수
          4     특수 파일              보통 /dev에 있는 파일
          5     파일 형식              예를 들어, /etc/passwd의 형식
          6     게임                   혹은 그 외 시시한 프로그램
          7     매크로 패키지          맨페이지 매크로와 같은 것들
          8     시스템 관리            보통 root만 실행하는 프로그램
          9     커널 루틴              비표준 함수 및 내부 구조

즉, gentoo의 맨페이지는 gentoo.1이나. 원 소스에는 gentoo.1 맨페이지가 없었으므로 예제와 상위소스에 들어 있는 문서들을 이용해서 직접 작성했다.


5.5 menu.ex

X 윈도우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관리자는 보통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메뉴가 있다. 데비안 menu 패키지를 설치했다면, 시스템의 각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메뉴가 자동으로 만들어 질 것이다. 데비안 정책상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, 메뉴를 만드는 편이 사용자에게 편리할 것이다. 이 파일을 편집해서 gentoo를 메뉴에 추가할 수 있다. 다음은 dh_make가 기본으로 만들어 주는 파일이다:

       ?package(gentoo):needs=X11|text|vc|wm section=Apps/see-menu-manual\
         title="gentoo" command="/usr/bin/gentoo"

첫번째 필드는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종류이다 (예, 텍스트냐 X11이냐). 그 다음은 gentoo 나타날 메뉴와 서브메뉴이다. 현재 섹션의 리스트는: /usr/share/doc/debian-policy/menu-policy.html/ch2.html#s2.1 세 번째 필드는 프로그램의 이름이다. 네 번째는 프로그램의 아이콘 이름인데, 아이콘이 없다면 none으로 한다. 다섯 번째는 메뉴에 나타나게 될 실제 문장이다. 여섯 번째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명령어이다.

이제 우리는 메뉴 항목을 다음과 같이 바꾼다:

       ?package(gentoo):needs=X11 section=Apps/Misc \
         title="Gentoo" command="/usr/X11R6/bin/gentoo"

더 자세한 정보는 menufile(5), update-menus(1) 참고.


5.6 watch.ex

uscan(1)uupdate(1) 프로그램과 함께 이 파일을 사용한다 (이 프로그램들은 devscripts 패키지 안에 있다). 이 기능을 이용해 원 소스를 가져온 사이트를 살펴볼 수 있다. 나는 다음과 같이 했다:

     # watch control file for uscan
     # Site            Directory  Pattern               Version  Script
     ftp.obsession.se  /gentoo    gentoo-(.*)\.tar\.gz  debian   uupdate

힌트: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, 이 파일을 만든 다음 프로그램 디렉토리에서 "uscan"을 실행해 본다. 그리고 해당 맨 페이지를 읽는다.


5.7 ex.doc-base

여러분의 패키지에 HTML이나 그 외 문서가 들어 있다면 (맨 페이지와 info 문서를 제외하고), `doc-base' 파일로 그 문서를 등록해야 한다. 사용자는 dhelp(1)이나 dwww(1)로 그 문서를 찾을 수 있다.

gentoo의 doc-base 파일은 다음과 같다:

       Document: gentoo
       Title: Gentoo Manual
       Author: Emil Brink
       Abstract: This manual describes what Gentoo is, and how it can be used.
       Section: Apps/Tools
     
       Format: HTML
       Index: /usr/share/doc/gentoo/html/index.html
       Files: /usr/share/doc/gentoo/html/*.html

이 파일 형식에 대한 정보는 install-docs(8)과 doc-base 매뉴얼, /usr/doc/doc-base/doc-base.html/index.html에 있다.


5.8 postinst.ex, preinst.ex, postrm.ex, prerm.ex

이 파일들은 관리자 스크립트라고 한다. 이 스크립트는 패키지 콘트롤 정보로 저장되고 패키지가 설치, 업그레이드, 삭제될 때 실행된다.

지금으로서는 관리자 스크립트를 직접 편집하지 않도록 한다. 물론 할 수도 있겠지만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이다. 좀 더 자세한 정보는 Packaging Manual 섹션 6에 있으며, dh_make가 만들어 주는 예제 파일을 살펴본다.


[ 이전 ] [ 차례 ] [ 1 ] [ 2 ] [ 3 ] [ 4 ] [ 5 ] [ 6 ] [ 7 ] [ 8 ] [ 9 ] [ 10 ] [ 다음 ]


데비안 새로운 관리자 안내서

version 1.2, 6 April 2002.

Josip Rodin jrodin@jagor.srce.hr
번역: 류창우 cwryu@debian.org/
번역: 양유성 yooseong@debian.org/